새로운 것은 언제나 신나게!!!

boowoon.egloos.com


포토로그


같은 모델 다른 광고 : 폭스바겐과 KT Innovation

 
 매년 미국인들이 열광하는 슈퍼볼은 경기의 결과와 함께 중간중간 나오는 상업광고가 무엇이 등장할지도 사람들의 관심거리이다. 1초에 수십억원의 광고비를 내지만 그 이상의 광고효과를 가지고 있기때문에 광고주들은 이전에도 볼 수없었던  새로운 광고컨셉으로 시청자들의 시선을 집중시키면서 광고내용자체가 경기결과만큼이나 화제가 되고 있다. 2010년에는 현대자동차 광고가 슈퍼볼광고로 나오면서 그 자체가 화제가 되고는 했다. 우연일지는 모르지만 현대자동차는 미국시장에서 저가형 자동차 이미지에서 탈바꿈하여 한단계 추가적인 성장세를 보여주었다. (2011년 광고에서도 등장하기는 했는데 불행하게도 네티즌 사이에서 Worst 광고중에 하나로 뽑혔다.)

2011년에도 예의는 아니었는데, 이 중에서 가장 많은 호응을 얻었던 것이 폭스바겐의 자동차 광고였다.
바로 스타워즈의 다스베이더가 등장하는 내용이다.

미국인들에게는 '스타워즈'가 남다른 추억이 있는 것 같다. 오랜기간을 시리즈물로 상영되다 보니 초등학교때의 추억이 어른이 되어서도 똑같이 남아서 가족들 전체가 공감대를 가지고 있고, 궁극적으로 미국인들의 정서에 아련한 추억과 이야기거릿로 남아있는데, 그를 이용한 광고와 음악이 미국인들에게 많은 호감을 사게 만들었다.

광고에서 보여주고 있지만, 퇴근하는 아이의 아빠도 스타워즈를 잘 알고 있기때문에 다스베이더로 변신한 아이가 무엇을 바라는지 가장 잘 알고 있는 것이다.

광고라는 것은 이런 것이다. 광고안의 아이와 아빠가 그랬듯이 광고와 시청자들이 동시에 공감할 수 있는 공통분모를 찾아가는 과정이 바로 광고인 것이다. 스타워즈를 서로 잘 알고 있는 것 처럼 '폭스바겐'도 관심을 가져주기 바랍니다라는 메세지가 담겨져 있는 것이다.




다스베이더라는 똑같은 모델을 사용한 광고가 국내에 선보였다.

바로 KT의 LTE 광고인데 벌써 몇가지의 시리즈물로 선보이고 있다.

KT LTE만의 가상화기술과 빠른 속도를 소개하는 내용인데, 왠지 국내 네티즌의 반응은 그리 우호적이지 않다.

KT 공식블로그 에서도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불만이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다.

똑같은 광고모델인데 폭스바겐과 KT는 전혀 다른 효과를 보고 있는데 그 이유를 정리해보면,

1. 한국에서의 스타워즈는 미국만큼 공감대를 가지기 힘들다. 차라리 홍길동이나 로보트 태권브이같은 소재가 한국적인 정서에 더 가깝게 다가올 것이다. 

2. 스타워즈를 좋아하는 젊은 세대들의 공감대도 가져오지 못했다. 가장 큰 이유가 스타워즈의 다스베이더가 스타트렉의 워프를 한하다는 시공을 넘어서는(?) 개념에서 '재미'도 '공감대'도 모두 얻지 못한 것이다.

3. LTE, WARP 모두 일반인들에게는 어려운 단어인데, 이미 다 알고 있는 것처럼 표현한 것이다. 광고를 보고 무슨 의미인지 몰랐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광고에서는 고객은 교육을 시켜야 대상이 아니라, 이미 알고 있는 것을 그리워하게 만들어야 한다

4. 아직도 2G를 사용하는 나이드신 아줌마의 자리를 순간이동으로 앉으면서 '나는 네 애비다!'라는 식의 광고문구가 한국적 정서에 는 적합하지 않다.  


광고라는 것이 힘든 것은 다양한 사람들의 마음을 빼앗아야 하기때문이다. 많은 고민을 해서 만든 광고가 대중에게 인정받지 못하는 것이 아쉽다.

"노이즈마케팅도 마케팅이다!"라고 하면 할말은 없지만...





덧글

  • 이네스 2012/01/17 19:46 #

    확실한것하나는 이거 광고업계에서 무리수로 꽤나 오랫동안 이름날릴듯합니다.
  • ㅁㅁ 2012/01/17 21:18 # 삭제

    그야말로스마트한 예와 멍청돋는예(....)
  • 긁적 2012/01/17 23:49 #

    ................ 진짜 때려주고 싶다. 도대체 저거 기획한 놈은 무슨 생각으로 저런 걸 만들었지.
  • Kobi 2012/01/18 13:10 # 삭제

    전 그 유명한 i'm your father 를 이렇게 무의미하게 사용할 줄은 몰랐습니다.
  • 浮雲 2012/01/18 13:17 #

    제 개인적으로 가장 무리수를 둔 '발언'이죠..
  • permedia 2012/01/18 16:02 # 삭제

    인류 보편적인 가치를 일깨우고 감동을 준다고 해서 좋은 광고인지는 잘 모르겠네요.
    한번 보고나면 그 다음은 아무 감동도 없고 스토리도 없어서... 광고는 줄기차게 나오는건데...

    전, I'm your father에 빵 터졌습니다.
    가장 효율적이고 오히려 deep한 스토리를 주는 광고로 여기 집니다. KT는 Qook 때도 그랬지만 이런걸 좋아하나 봐요. ㅎㅎ
  • 浮雲 2012/01/18 16:04 #

    여하간 대중의 관심을 끄는데는 성공했습니다.
  • 행인 2012/01/19 09:32 # 삭제

    스타워즈고 뭐고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인데 자리 뺏긴거 공감돼서 재밌더라구요 ㅋㅋ
  • 한양댁 2012/01/19 12:28 #

    광고란 게 뭐 좀 팔아먹자는 거지만, 일단 공감도 좀 끌어내줘야 하는데 케이티에프는 영.....

    케이티에프 광고에도 아줌마가 나오고, 폭스바겐 광고에도 엄마가 나오는데요 - 엄마이자 아줌마인 입장에서 보자면, 케이티에프의 아줌마가 저런 상황에서 뭔 생각을 하고 뭔 말을 할 지는 짐작도 못 하겠고, 할 수도 없는데, 폭스바겐의 엄마가 뭔 생각으로 빵 접시를 밀어주고, 왜 저런 표정이고, 남편이 눈짓할 때 저 엄마 표정이 어떨지, 남편에게 뭐라고 할 지는 그냥 딱 머리에 떠오르네요. 더불어 지금 제 뒤에 뒹굴고 있는 파워레인저 가면과 이순신 장군 장검과 닌자 수리검과 기타 등등의 분장 도구 한번 뒤돌아보면서 씩 웃게 되고요.
  • 浮雲 2012/01/19 13:01 #

    공감대라는 것이.. 아주 중요한 듯 합니다. KT광고도 어느 경로이든 폭스바겐 광고를 염두에 두었을 듯 한데... 같으면서도 다른 상황이 발생되네요.
  • muhyang 2012/01/19 13:27 #

    위의 반응과 같이 KT 광고의 '아빠다'도 간혹 빵 터지는 사람도 있을 수 있겠습니다.
    (혹은 요새 지하철에서 끊이지 않는 중노년층의 자리 시비를 비꼬는 해석은 가능하겠고요)

    다만 본문에서 말씀하신 대로, 대체 무엇을 위하여 베이더경을 끌어넣었는지 참 납득이 가지 않는 게 사실입니다.
  • Yi Yeu 2012/01/19 13:54 #

    첫번째 광고 너무 귀여워요! 아 정말 ㅋㅋ
  • 화호 2012/01/19 13:59 #

    전략적인 스토리 없이, 넣으려는 소재만 모아 엮은게 얼마나 무식한 짓인지 깨닫게 되는 적절한 예시라고 생각합니다 -_-;;
  • creent 2012/01/19 15:10 #

    저는 20대 중반이지만 스타워즈를 보고 자란 세대가 아니어서 이 광고를 이해하는 데는 warp라는 단어(순간이동)와 i'm your father라는 여기저기서 줏어들은 키워드가 큰 역할을 했는데, 결국은 바로 그점이 큰 문제인것 같습니다. 결국 스타워즈는 남아있지 않고, 폭스바겐의 CF와 견주어서 촌극이 되기만 했을 뿐입니다.
※ 이 포스트는 더 이상 덧글을 남길 수 없습니다.

최근 포토로그



통계 위젯 (화이트)

13
25
47155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