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쳐폰이나 스마트폰 등 대부분의 휴대기기에는 기계의 성능이나 통신사에 따라서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서비스모드'라는 시크릿모드를 가지고 있다.
휴대기기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기능과 성능을 체크하고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다.
갤럭시노트의 경우도 전화걸기모드에서 *#0*# 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다음과 같은 서비스 모드로 들어간다.
LCD 나 진동, 화면 밝기, 펜 등 테스트 설정을 할 수 있는 화면인데 갤럭시노트는 이 코드뿐만 아니라 다양한 서비스 진입코드를 가지고 있다. 다만, 전문적인 지식이 없이 설정을 조절하는 경우 휴대기기자체의 에러를 일으킬 수 있다.
대략 적으로 몇가지 진입코드를 정리해보면
*#0228# : 전압, 온도 설정.
*#1234# PDA, PHONE, MOVINAND, Build 정보.
*#2663# 터치스크린 버전 정보.
*#7353# 멜로디, 진동, 스피커, 카메라, 블루투스 등 정보.
*#9090# USB/UART, 디버그 메시지 등 설정.
*#9900# 시스템 덤프 설정.
*#34971539# 카메라 펌웨어 설정.
등이 있다.

재미있는 것은 이 서비스모드에는 이쁜 강아지 한마리가 살고 있다는 사실이다.
*#0*# 를 입력하면 'LCD TEST"라는 서비스 모드가 나오는데 여기에서 중앙의 Sensor를 클릭후 왼쪽상단의 Image Test를 클릭하면 강아지 한마리가 살고 있다.
삼성의 벨소리음도 이 넘은 내는 것 같다.


휴대기기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기능과 성능을 체크하고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다.
갤럭시노트의 경우도 전화걸기모드에서 *#0*# 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다음과 같은 서비스 모드로 들어간다.

대략 적으로 몇가지 진입코드를 정리해보면
*#0228# : 전압, 온도 설정.
*#1234# PDA, PHONE, MOVINAND, Build 정보.
*#2663# 터치스크린 버전 정보.
*#7353# 멜로디, 진동, 스피커, 카메라, 블루투스 등 정보.
*#9090# USB/UART, 디버그 메시지 등 설정.
*#9900# 시스템 덤프 설정.
*#34971539# 카메라 펌웨어 설정.
등이 있다.


*#0*# 를 입력하면 'LCD TEST"라는 서비스 모드가 나오는데 여기에서 중앙의 Sensor를 클릭후 왼쪽상단의 Image Test를 클릭하면 강아지 한마리가 살고 있다.
삼성의 벨소리음도 이 넘은 내는 것 같다.



덧글
보통 *#06# - IMEI 같은 기본적으로 있는거에서 각 제조사마다 추가합니다.
ICS에서 추가된건 아니고 보통 공정이나 user 모드에서는 빼왔는데 몇가지는 진입할 수 있도록 풀어준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