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 소프트웨어 단속이 예전보다 강화되고, 대부분의 기업에서도 정품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흐름으로 자연스럽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일부 회사원 중에서는 쉐어웨어 와 프리웨어 의 의미를 혼선하면서 본의아니게 불법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생기게 된다.
그러나, 실제 회사생활하다보면 압축이나 뷰어 등에서 쉽게 인터넷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내부의 복잡한 결제를 거쳐서 정식 소프트웨어을 구입하는 행위가 쉽지는 않다.
그래서 기업에서도 아무런 법적인 문제가 없이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정리해 보았다.
1. 압축 프로그램
가장 많이 사용하면서 쉽게 혼선하는 프로그램이기도 하다.
특히 이스트소프트사의 알툴프로그램은 100% 쉐어웨어 프로그램으로 생각하면 된다. 개인사용은 괜찮지만, 회사의 컴퓨터를 이용하는 순간 개인적인 용무여도 회사업무용 사용이 되는 것이다.
이전까지는 빵집 이라는 프로그램으로 이러한 고민을 해결해었다. 개발자인 양병규님 은 1990년도에 하이텔시절부터 그당시 유명했던 프로그램 동호회(OSC)에서 델파이 전문가로 "날리시던" 분이었던 것으로 기억이 난다.
그런데 아쉽게도 업데이트가 2010년이후에 되지 않고 있어서 같은 무료프로그램이면서 빵집이상으로 기능이 뛰어난 반디집 으로 대처하였다. 일본, 영어판도 있고 맥도 지원하면서 안정성과 확장성(물론 알집 압축도 잘 풀린다.)측면에서는 알집을 능가하는 100% 무료 프로그램이다. 정말 강추이다.
2. PDF 제작 프로그램
오피스의 최근 버젼에는 다른 이름 저장으로 PDF화일을 만드는 기능이 있다.
PDF를 보는 것은 물론 Adobe Reader로서 충분하지만 외부에 보안자료를 보내는 등의 업무가 필요할때는 PDFCreator 가 최고이다. 크지 않은 프로그램이지만 꼭 필요한 기능만 있다.
3. FTP 프로그램
여러가지 프로그램이 있지만 가장 심플 한 것은 FileZilla 프로그램이다. 말이 필요없다.
4. 캡쳐 프로그램
역시 업무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프로그램이고 여러가지 무료프로그램들이 많이 있지만 오픈캡쳐 만한 프로그램은 없었다. 그러나 어느 순간 상업화가 되면서 회사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개인 무료프로그램으로 바뀌었다. 설치가 필요없다는 것이기 가장 큰 장점이었는데, 아쉽게 되었다.
대처할 만한 캡쳐프로그램으로는 칼무리 라는 프로그램이 있다. 인스톨없이 하나의 실행화일로 되어있는데, 오직 캡쳐를 위해서는 아주 심플하게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조금더 세부적인 기능을 원한다면 반디 카메라 를 이용해도 좋다. 왠만한 상용프로그램보다도 실용성부분에서는 뛰어나다.
5. 이미지 뷰어 프로그램
간단한 사진이나 이미지를 보기 위해 많은 무료프로그램들이 있는데.. 개인적으로 추천하는 것은 Imagine 이라는 국내 개발자가 만든 프로그램이다. 이미지 뷰어는 에디팅기능보다는 빠르게 이미지를 보는 것이 생명이다. 그러한 본연의 기능을 훌륭하게 충족시켜 주고 있다. 국내에서는 드물게 "Donationware"을 표현을 써서 사용해보고 마음에 든다면 언제든지 Donation이 가능하다고 한다. 물론 도네이션 하지 않아도 기능상의 제약은 없다.
도네이션이라는 단어자체도 부담스러우면 Xn View 도 무난하다.
6. 사진 편집 프로그램
디지탈 카메라가 발전되면서 꼭 필요한 프로그램이 바로 포토웍스 이다. 이미 아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그 인기가 포토샾을 능가한다. 간단한 리사이징, 파일명 변환, 액자만들기 기능의 사용성은 가히 국내 최고이다. 다만 업그레이드가 몇년동안 되지 않아서 최근에는 조금 무겁기는 하나 포토 스케이프 의 사용자가 많다.
7. 기타
윈도우 오피스의 기능을 대처하는 오픈 오피스 , 무료 백신프로그램인 AVAST , 윈도우 탐색기를 대신할 만한 Free Commander 등이 있다.
그럼에도 상용화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싶다면 Giveaway of the Day 를 이용해보기를 권한다. 20~100달러 상당의 유용한 프로그램을 매일 매일 무료로 제공해주는 곳인데, 요즘같이 스마트폰이 일반화된 시점에 하루 한번 방문해서 원하는 기능을 가진 프로그램이 있으면 무료 라이센스를 발급해주는 곳이다.


덧글
저는 NOTEPAD++를 쓰고 있습니다만, 미묘하게 불편해서요.